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열사병 vs 단순 더위먹음, 구별하는 방법

by 유나SS 2025. 7. 31.
반응형

열사병 vs 단순 더위먹음, 무엇이 다를까?

여름철 야외활동이 많아지면 누구나 한 번쯤 “더위 먹은 것 같다”는 말을 합니다. 그러나 이 ‘더위 먹음’이 열사병이라면 상황은 매우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비슷하게 느껴지지만, 단순 더위먹음(열탈진)과 열사병은 증상과 위험성 면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대응 방식 또한 달라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상태의 정확한 구분법과 대처 요령을 알려드릴게요.

 

 

열사병과단순더위먹음의구별방법
열사병과단순더위먹음의구별방법

 

< 더위먹음 vs 열사병 >

구분 단순 더위먹음 (열탈진) 열사병 (Heat stroke)
원인 과도한  배출로 체내 수분과 전해질 손실 체온 조절 기능 마비로 인해 체온이 급상승
체온 정상 또는 미열 (37~39℃) 고열 (40℃ 이상)
의식 상태 약간 멍하거나 어지럼, 의식 유지 의식 혼미, 착란, 심한 경우 의식 소실
피부 상태 창백하거나 축축함 뜨겁고 건조하거나 붉고 축축함
기타 증상 피로감, 메스꺼움, 근육경련, 식은땀 경련, 빠른 맥박, 빠른 호흡, 환각, 발작
응급성 휴식과 수분 보충  회복 가능 응급실 이송 필요, 방치  생명 위협 가능

 

 

< 더위먹음 vs 열사병 쉽게 구별하는 법 >

 

땀이 나는지 확인하세요

→ 땀을 흘리고 있다면 열탈진일 가능성, 땀이 멈췄다면 열사병일 수 있음

체온이 40℃ 이상이면 열사병 의심

→ 고온 환경 + 고열 + 의식 혼란이 동반되면 즉시 119 연락

혼자 대처가 가능한가?

→ 말을 제대로 못 하거나 두통, 경련, 착란이 동반된다면 열사병

 

 

< 더위먹음 vs 열사병  대처법 > 

 단순 더위먹음(열탈진)일 때

서늘한 장소로 이동

옷을 느슨하게 하고, 찬물·물수건으로 몸을 식힘

이온음료, 생수 등으로 수분과 전해질 보충

누운 자세에서 다리 살짝 올리기

 

회복에 시간이 걸리더라도, 의식이 또렷하고 회복세가 보이면 병원 이송은 필수 아님

 

 

< 열사병일 때는 응급 상황입니다! >

즉시 119 신고

얼음주머니 또는 찬물수건을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 대기

물을 억지로 먹이지 않기 (의식 저하 상태일 수 있음)

호흡 멈출 경우 심폐소생술 준비

 

열사병은 적절한 조치가 지연되면 장기 손상, 의식불명,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더위먹음 vs 열사병 예방법 >

폭염 시 외출 자제, 시원한 복장 착용

20~30분 간격으로 수분 섭취

이온음료 등 전해질 음료 보충

직사광선 피하고 그늘·실내에서 자주 휴식

노약자와 어린이, 고혈압·심장질환자 주의

 

 

 

단순한 더위 증상처럼 보여도, 그 안에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열사병이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얼른 물 마시면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은 위험합니다.

증상을 구분하고,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여름철 안전 수칙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