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격심리학

성격심리학의 역사

by 유나SS 2024. 3. 4.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성격심리학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현대의 성격심리학이 시작된 것은 20세기 초반이지만, 성격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기원전의 고대사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성격심리학의역사
성격심리학의역사

성격심리학의 고대 역사 (129~ 200 AD)

로마의 의학자인 Galen(129~ 200 AD)은 Hippocrates의 체액론을 발전시켜 인간의 기질을 다혈형, 우울형, 점액형, 담즙형으로 분류함으로써 최초의 기질 유형론을 제시하였습니다.

성격은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인간의 주요한 관심사였기 때문에 이후에도 많은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주로 철학자나 의학자에 의해서 인간의 성격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되고 그러한 성격이 형성되는 원인에 대한 다양한 주장도 제시되었습니다.

그러나 고대에 이러한 주장들은 개인의 주관적인 관찰과 사색에 근거한 것으로서 객관성이 부족하였습니다.

현대 성격심리학의 역사 (19세기 후반 ~ )

인간의 심리적 현상을 엄격한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현대의 심리학은 19세기 후반에 나타났습니다.

1879년 빌헬름 분트 Wilhelm Wundt(1832~1920)가 독일의 라이프치히 대학에 심리학 실험실을 개설하고 인간의 정신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시작한 것이 현대 심리학의 효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윌리엄 제임스 William James(1842~1910)가 1900년에 ‘ 심리학의 원리(Principles of Psychology)’ 를 발간하여 심리학의 주된 연구주제를 제시함으로써 미국심리학의 아버지로 여겨지고 있다.

현대 심리학이 태동된 이후로 성격심리학은 크게 5가지의 접근을 통해 발전해 왔습니다.
 

현대 성격심리학의 5가지 접근의 역사

 

1. 정신분석적 접근

 20세기 초에 유럽에서 시작된 정신분석적 접근입니다.  프로이트(Freud)는 20세기가 시작된 는 1900년에  ' 꿈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Dreams)'을 발간하여 정신분석학 이론을 창시했으며 이후 많은 저술을 통해서 성격에 대한 심층심리학적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한때 프로이트(Freud)의 동료였던 융(Jung)과 아들러(Adler)도 의견차이로 각자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분석심리학과 개인심리학을 제창하였습니다.
 
정신역동적 입장은 현대에 오면서 그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지만 개인의 전체적 성격을 설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의식의 심층심리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까지 성격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2. 행동주의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은 미국에서 발전한 실험적 연구전통방식입니다. 미국에서는 20세기 초반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접근에 반대하며 엄격한 과학적 연구를 강조하는 행동주의 심리학이 대두되었습니다.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개인의 내면적 요인보다는 환경에 의해서 학습되거나 강화된 행동 패턴 또는 습관적 행동으로서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연구됩니다.
 
대표적인 학자와 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블로(Pavlov) : 고전적 조건형성
- 스키너(Skinner) : 조작적 조건 형성
- 벤투라(Bandura) : 사회적 학습이론
 
1970년 이후 행동주의적 이론은 인지혁명의 영향을 받아 성격의 사회인지이론과 정보처리이론으로 발전하였습니다.

3. 특질이론적 접근

특질이론적 접근은 상관적 연구전통에 근거한 접근입니다.

성격심리학이 심리학의 중요한 연구분야로 주목받게 된 것은 미국의 심리학자인 고던 올포트(Gordon Allport가 1937년에 성격의 분석단위로서 특질(trait)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면서부터입니다. 이를 계기로 성격특질을 측정하는 다양한 심리 검사들이 개발되면서 본격적인 성격심리학의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 1949년에는 Cattell이 16개의 성격특질을 제시하고 특질을 측정하는 성격검사인 16PF를 발간.
- 1960년에 Eysenck는 성격질문지를 개발하고 성격의 3 요인 이론을 제시.
- 1981년에 Goldberg는 이러한 5개의 성격특질을 'Big Five'라고 정의.
- 1985년에 Costa와 McCrae가 성격의 5 요인을 측정하는 NEO 성격질문지(NEO-PI)를 개발하고 여러 연구를 통해서 5 요인의 안정성과 문화보편성을 밝히면서 성격의 5 요인 이론은 성격심리학의 대표적인 특질이론
 

4. 인본주의적 접근

인간의 성격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제시한 인본주의적 접근입니다. 로저(Rogers)와 매슬로우(Maslow)는 정신분석과 행동주의 심리학을 비판하면서 인본주의 심리학을 제시하였습니다.
 
- 1942년에 Carl Rogers가 인간의 자기실현 경향성을 강조하는 인간중심치료(person-centered therapy)를 제시
- 1954년에 Abraham Maslow는 자기실현을 정점으로 하는 동기의 위계적 발달이론을 제시.
 
인간의 성장지향 동기와 자기실현적 인간상을 제시함으로써 성격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한 인본주의적 접근은 체계적인 이론과 실중적인 연구방법의 부재로 인해서 쇠락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대두된 긍정 심리학을 통해서 인간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기본정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5. 인지주의적 접근

인지주의적 접근은 인간의 사고과정을 강조하는 접근입니다.
 
- 1955년에 미국의 심리학자인 George Kelly는 개인의 성격과 행 동을 이해함에 있어서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
- 1958년에는 Albert Ellis가 합리적 정서치료(rational emotive therapy)를 제안.
- 1964년에 Aaron Beck 은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를 제시했다.
- 1950년대에 인지혁명과 더불어 정보처리이론이 발전하면서 성격에 대한 인지주의적 이론이 급격하게 발전하였다.
- 1970년대에 인 지주의적 접근은 행동주의적 접근과 접목되면서 정신 장애를 설명하고 치료하는 인지행동적 접근으로 발전.
 
인지주의적 이론은 임상적 연구전통에서 시작되었으나 이후에 실험적 연구전통과 통합되어 객관적 과학성과 임상적 유용성을 확보함으로써 성격심리학뿐만 아니라 임상심리학에서도 각광을 받게 되었습니다. 
 

성격심리학의 최근 추세

성격심리학은 심리학의 핵심 분야로서 지난 세기 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21세기에 접어든 현재에도 성격에 관한 수많은 연구가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1. 성격 분석단위의 다양화

개인의 성격 전체로부터 특질(trait), 심리도식 (schema), 자기(self), 심리양식(mode), 행동각본(script)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거시적 관점에서 성격 전체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거대이론에서부터 성격의 세부적인 분석단위를 미시적으로 정교하게 설명하는 미세이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 성격과 상황의 상호작용

개인의 행동을 예측함에 있어서 성격 요인의 설명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개인-상황 논쟁 (person-situation controversy) 이후로 성격 개념에 대한 회의와 함께 성격의 연구가 일시적으로 위축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는 상황 요인뿐만 아니라 성격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면서 다시 성격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현대의 많은 실증적 연구들은 어떤 성격특성을 지닌 사람이 어떤 사회적 상황에서 어떤 행동적 반응을 나타내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3. 인지적 요인의 중요함

인간의 성격과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 있어서 인지적 요인의 중요함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성격심리학 연구의 중요한 관심사는 성격이 상황적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특정한 행동을 하는 심리적 과정에 있습니다. 개인이 사회적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행동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성격을 구성하는 인지적 요인들, 즉 자신과 세상에 대한 신념, 인지도식, 자기 개념, 귀인 등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성격의 사회인지적 모델들은 개인이 사회적 상황을 특정한 방향으로 해석하여 행동하게 만드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정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행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성격과 심리적 과정의 역할을 탐색하는 것은 현대 성격심리학 연구의 중요한 주제입니다.

4. 생물학적 관점

인간의 성격을 생물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려는 접근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1990년대에 발전한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인간의 성격과 행동을 설명하려는 다각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 인간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진화심리학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990년대에 발전한 진화심리학의 관점은 인간의 본성과 성격 차이를 탐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끌어냈습니다. Buss (1991)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은 성격 형성에 있어서 진화적 측면을 강조하며, 남녀 간의 성격 차이를 이해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2. 유전생물학과 신경과학의 발전으로 성격과 행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과 뇌의 신경생리학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이론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Cloninger의 심리생물학적 이론과 같은 다양한 접근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3. 최근에는 성격장애와 성격강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DSM-5에서는 성격의 5 요인 이론을 기반으로 한 성격장애의 진단기준을 대안모델로 제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성격장애에 대한 다양한 치료법들의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긍정심리학의 발전으로는 성격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탐구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반응형